출처: http://sportsnavi.yahoo.co.jp/soccer/club_wcup/2008/text/200812230007-spnavi.html
저자: 세르히오 레빈스키
[이번 대회도 유럽 챔피언과 그 외의 클럽간 실력차이가 부각되었다.]
■ 메워지지 않은 실력차이
LDU 키토의 지장으로 아르헨티나 출신인 에드가르도 바우사 감독은 말했다.
“예산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1/10에도 미치지 않는 남미 왕자가 클럽월드컵 결승에서 이길 기회라는 것은 굉장히 낮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자금력은 시합에도 영향을 끼치니까”
실제로 21일 결승에서 행해진 클럽월드컵 결승전에서 에콰도르의 LDU 키토는 마지막까지 1점을 따라붙지 못하였다.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는 지난 시즌과 같은 플레이를 여전히 되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며 또한 이날 DF 네마냐 비디치의 퇴장덕분에 LDU 키토는 약 40분간을 한 선수 많은 상태로 싸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미 챔피언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게 승리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했던 것이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그 외 참가 팀들과의 차이는 그렇게까지 컸다. 결승까지 진출한 LDU 키토는 재능 넘치는 아르헨티나 MF인 다미안 만소가 2번에 걸쳐 멋지고 정확한 미들슛을 쏘았지만 어느 것이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GK 판 데르 사르의 한 손에 막혔다.
[ 경기 하일라이트 ]
■ 흡사 ‘세계 올스타’인 유럽의 클럽
LDU 키토를 이끌고 클럽월드컵에서 싸운 바우사는 예전 같은 나라의 카를로스 비안치가 걱정하였던 것과 같은 코멘트를 남겼다. 그것은 FIFA가 가까운 장래에 도입하고자 하려는 [6+5 룰]에 관련된 문제이다. 즉 팀 스타팅 멤버 중 외국 국적인 선수를 5명으로 제한하여 자국 선수를 늘리려고 한다는 것이다. 단지 이 룰은 EU의 법률과 저촉될 염려가 있기에 유럽에서는 반대론도 강하다.
비안치는 보카의 감독시대에 도요타 컵(당시)에 일본에 왔을 때 어느 유럽의 빅 클럽에 관해서 말한 적이 있다.
“어느 나라의 팀과 싸우는지 알 수가 없다. 너무나도 여러 국가의 선수가 많아서 분류할 수 없을 정도다”
잉글랜드 vs. 에콰도르라고 하면 2006년 월드컵 16강이 떠오른다. 이때 잉글랜드는 60분에 데이비드 베컴이 FK을 직접 성공시켜 1-0으로 에콰도르를 물리쳤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어쩌면 잉글랜드 대표팀보다 강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각국 대표팀의 주력선수가 즐비하기에. LDU 키토는 그러한 ‘세계 올스타’에 도전하여 과감히 싸웠다.
[ 2006년 잉글랜드 vs. 에콰도르에서의 베컴의 골]
클럽 월드컵에 대해서는 예전 유럽 챔피언과 남미 왕자에 의한 한판 승부에서 현재의 각 대륙 왕자를 모으는 포맷으로 바뀐 당초부터 큰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유럽과 남미의 차이는 아직 작은 것으로, 프로와 아마추어가 섞여있는 상황하에서 과연 축구가 스포츠로써 성립되느냐는 문제이다. 결론적으로 생각하기에 경제적으로 윤택한 팀이 강한 것은 당연. 물론 예상외의 결과는 존재하지만 결국에는 돈이 짱인 것이다.
■ 앞으로의 과제와 해결책
물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이번 대회에서 자신들의 책임을 완수하여 약속대로 세계 No.1이라는 칭호를 손에 넣었다. 지기라도 하였다면 유럽 챔피언의 명성에 먹칠이 되었을 것이다. 준결승의 감바 오오사카와의 시합에서는 놀랄 만큼 선전한 아시아의 왕자를 앞에 두고 다소 건성건성으로 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1점을 허용하여 2-1이 된 시점에서 이 잉글랜드의 빅 클럽은 순간적으로 진심이 되었다. 도중 출전한 루니가 곧바로 2골을 넣는 등 불과 5분만에 3점을 연속으로 넣어 5-1로 만들었던 것이다. 그 후 감바 오오사카의 반격으로 최종 스코어는 5-3이 되었지만.
[감바 오오사카 vs. 맨유의 하일라이트]
감바 오오사카와의 3위 결정전 후의 회견에서 파추카의 엔리케 메사 감독은 유럽과 남미 대표만 시합수가 적은 것에 의문을 표했다. 이 2팀은 시드 배정되어있기에 1시합 이기면 결승으로 진출할 수 있다. 어느 팀이건 같은 시합수로 해야만 한다고 – 멕시코의 지휘관은 그렇게 주장하였다. 물론 정론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유럽과 남미 팀 이외에 결승에 진출한 적이 없는 상황에서 현실적인 방법이 아닌 것도 또한 사실이다. 이번 대회 4강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LDU 키토, 감바 오오사카, 파추가 사이에는 엄연한 퀄리티의 차이가 있었다. 만약 3시합 싸우게 된다면 2대 전통 대륙은 예전 토요타 컵 방식이 더 좋다고 말할 것이다.
[ 감바 오오사카 vs. 파추카의 골 장면]
FIFA는 이 건에 관해서 앞으로 해결책을 찾아야만 할 것이다. 클럽월드컵은 다음 2009년부터 2년간 UAE로 장소를 옮긴다. 대회로써 조금 더 질을 높이지 않으면 안 된다. 가령 각 대륙에서 출전하는 팀을 조금 더 늘린다. 월드컵과 같이 대륙의 경쟁력에 따라 출장 클럽 수를 늘리는 것도 하나의 안일 것이다. 개최기간의 문제는 있겠지만 대회의 질은 지금보다 훨씬 높아질 터이다. 대회의 가치가 높아져 텔레비전 방송권료 등도 좀 더 들어오게 되면 클럽월드컵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는 유럽 클럽도 진심이 될 것임에 틀림이 없다. 또한 개최국의 로테이션 문제도 있다. 개최능력은 필요하겠지만 나라에 따라서는 대회를 유치함으로써 축구의 메이저화에 대한 도움이 될 지도 모른다.
어쨌든 클럽월드컵은 이번 대회로 일단락되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실력은 두드러졌지만 LDU 키토나 감바 오오사카는 굉장히 좋은 인상을 남겼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4위가 된 파추카는 아프리카 왕자인 에트왈 사헬에게 첫 시합 패퇴한 작년만큼은 아니라고 하여도 이번 대회 역시 불만이 남지 않았을까?
클럽월드컵은 내년 UAE의 땅에서 새로운 길을 나아가게 되었다. 앞으로 더욱 사람들의 흥미를 끌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일본웹번역 > 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팀과 강 팀 (0) | 2009.01.10 |
---|---|
진흙탕에서 허우적대는 명문 - 페예노르트의 미래는? (0) | 2009.01.10 |
육성조직 강화는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테마 (0) | 2008.12.24 |
잉글랜드 축구계의 미래에 희망을 빛을 주는 아스날의 육성술 (0) | 2008.12.21 |
에스파냐 축구계를 진동시킨 승부조작 의혹 (0) | 2008.12.21 |